위상차 현미경, 도립 현미경 및 일반 광학 현미경의 유사점과 차이점
이러한 종류의 현미경은 모두 광학현미경으로 가시광선을 검출방법으로 사용하며 전자현미경, 주사터널현미경, 원자력현미경과는 다르다.
구체적으로:
위상차 현미경이라고도 알려진 위상차 현미경. 빛은 투명한 샘플을 통과할 때 약간의 위상차를 생성하고 이 위상차는 이미지의 진폭 또는 대비 변화로 변환될 수 있으므로 위상차를 이미징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1930년대 프리츠 제르니케(Fritz Zernike)가 회절 격자를 연구하던 중 발명했습니다. 이로 인해 그는 1953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는 현재 살아있는 세포 및 소기관 조직과 같은 투명한 표본에 대한 대비 이미지를 제공하는 데 널리 사용됩니다.
공초점 현미경: 점별 조명과 공간 핀홀 변조를 사용하여 샘플의 초점이 맞지 않는 평면에서 산란된 빛을 제거하는 광학 이미징 방법입니다. 기존 이미징 방법과 비교하여 광학 해상도와 시각적 대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점광원에서 방출된 프로브 빛은 렌즈를 통해 관찰 대상에 집중됩니다. 물체에 초점이 맞춰지면 반사된 빛은 원래 렌즈를 통해 광원으로 다시 수렴되어야 합니다. 이는 소위 공초점, 줄여서 공초점이라고 합니다. 공초점현미경은 반사광의 광경로에 이색거울(Dichroic Mirror)을 추가해 렌즈를 통과한 반사광을 다른 방향으로 휘게 한다. 초점에 핀홀(Pinhole)이 있고, 초점에 핀홀이 위치합니다. 배플 뒤에는 광전 증배관(PMT)이 있습니다. 감지광의 초점 전후의 반사광은 이 공초점 시스템 세트를 통과하지만 작은 구멍에 초점을 맞추지 못하고 배플에 의해 차단될 것이라고 상상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광도계는 초점에서 반사된 빛의 강도를 측정합니다. 그 중요성은 렌즈 시스템을 움직여 반투명 물체를 3차원으로 스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개념은 1953년 미국 학자 마빈 민스키(Marvin Minsky)가 제안했다. 30년의 개발 끝에 레이저를 광원으로 활용해 마빈 민스키의 이상에 부합하는 공초점 현미경을 개발했다.
도립현미경: 대물렌즈와 조명계가 바뀌어 전자가 스테이지 아래, 후자가 스테이지 위에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구성은 일반 현미경과 동일합니다. 기타 관련 이미지 획득 장비의 편리한 작동 및 설치.
광학 현미경은 광학 렌즈를 사용하여 이미지 확대 효과를 생성하는 현미경입니다. 물체에 입사된 빛은 적어도 두 개의 광학 시스템(대물렌즈와 접안렌즈)에 의해 확대됩니다. 첫째, 대물렌즈는 확대된 실상을 생성하고 인간의 눈은 돋보기 역할을 하는 접안렌즈를 통해 확대된 실상을 관찰한다. 일반 광학 현미경에는 관찰자가 필요에 따라 배율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교체 가능한 대물렌즈가 여러 개 있습니다. 이러한 대물 렌즈는 일반적으로 회전 가능한 대물 렌즈 디스크에 배치되며, 대물 렌즈 디스크를 회전시켜 다양한 접안 렌즈를 광학 경로에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물리학자들은 배율과 해상도 사이의 법칙을 발견했고, 사람들은 광학현미경의 해상도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러한 해상도 한계는 배율의 무한한 증가를 제한합니다. 1600배는 광학현미경 배율의 최고한계가 되어 많은 분야에서 형태학의 적용을 크게 제한합니다.
광학 현미경의 해상도는 빛의 파장에 의해 제한되며 일반적으로 0.3 미크론을 초과하지 않습니다. 현미경이 자외선을 광원으로 사용하거나 물체를 기름에 넣은 경우에도 해상도가 향상될 수 있습니다. 이 플랫폼은 다른 광학 현미경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