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터의 유효값과 실제 유효값의 기능
교류의 크기는 시간에 따라 변합니다. 특정 순간의 순시값 크기는 0과 양수 및 음수 피크 값 사이에서 다양합니다. 최대값은 순시값일 뿐이며 교류의 작동 용량을 반영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유효가치라는 개념이 도입되었으며, 그 정의는 다음과 같다.
유효값: 발열량(전력)으로 정의됩니다. 어떤 교류가 저항을 통과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또 다른 직류가 같은 저항을 통과할 때, 같은 시간 동안 발생한 열이 같다면, 이 직류의 전압값은 이 교류 전압의 실효값이 됩니다.
실제 유효값: 유효값의 정의는 발열을 기준으로 합니다. 그러나 측정기기에서는 이 방법으로 전압의 실효값을 측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멀티미터 등으로 전압을 측정하는 등 대부분의 전압 측정기에서는 실효값으로 정의되는 '발열량'에 따라 측정 방법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멀티미터의 한 유형은 사인파를 기준으로 사인파의 피크 값이 유효 값의 √2배라는 관계를 통해(또는 평균값에서 파생) 실효 값을 얻습니다. 이 방법으로 얻은 유효 값은 사인파 형태의 교류 전압에 대해서만 정확하며 다른 파형 형태에는 편차가 있습니다. 또 다른 유형의 멀티미터는 직류 성분, 기본파 및 다양한 고조파의 유효값을 제곱하여 전압값을 계산합니다. 이 값은 유효 값의 정의와 유사하며 파형 모양에 대한 요구 사항이 없습니다. 이런 종류의 실효값과 정현파를 이용한 기기에서 구한 실효값을 구별하기 위해 측정기에서는 이 값을 '진실효값'이라고 합니다.
평균제곱근값: 실효값의 다른 이름(측정기에서는 참 실효값이어야 함).
멀티미터의 유효 값은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 상황 중 하나를 나타냅니다.
교정된 평균값 방법. 교정된 평균값은 교정된 평균값 또는 유효값으로 교정된 교정된 평균값이라고도 합니다. 그 원리는 정류 및 적분 회로를 사용하여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한 다음 사인파의 특성에 따라 계수를 곱하는 것입니다. 사인파의 경우 이 계수를 곱하면 결과는 사인파의 유효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사인파 테스트에만 국한됩니다.
피크값 검출 방법. 피크값 검출 회로를 통해 교류 신호의 피크값을 구한 후, 사인파의 특성에 따라 계수를 곱합니다. 사인파의 경우 이 계수를 곱하면 결과는 사인파의 유효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사인파 테스트에만 국한됩니다.
진정한 유효 가치 방법. 교류신호를 직류신호로 변환하여 측정하는 실효치 회로를 채택합니다. 이 방법은 모든 파형의 실제 유효 값을 테스트하는 데 적용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멀티미터는 처음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며 신호 주파수에 상대적으로 큰 제한이 있습니다.







